
한밤중에 갑자기 잠자리에서 일어나 돌아다니는 모습을 보이거나 막 소리를 지르는 행위를 보인다면 몽유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몽유병은 그 정도에 따라서 자칫 부상을 입기도 쉽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데요.
오늘은 몽유병에 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몽유병 원인
몽유병은 비렘수면 단계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 행동인데 환자는 무의식적 상태에서 방을 돌아다니기도 하고 외부 자극에 따른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심할 경우 집 밖으로 나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몽유병이 나타나는 원인으로는 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유전적 요인 및 불규칙한 수면 습관, 심리적 압박과 수면 부족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요.
유독 심한 피로감이 있을 때 빈번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2. 몽유명 증상
몽유병이 나타나게 될 경우 환자는 알 수 없는 행동을 하거나 맥락에 맞지 않은 말을 구사하며 대화를 걸기도 합니다.
중얼거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다음 날 전혀 기억을 하지 못하는데 다소 난폭한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갑자기 눈을 뜨고 일어나 돌아다니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요.
사람에 따라서는 소변을 보거나 옷을 입는 등 행동을 취하는 현상으로 관찰이 되기도 합니다.
3. 몽유병 진단
일반적으로 몽유병은 DSM-IV 진단에 따라 진단을 해볼 수 있습니다.
- 수면 중 일어나 걸어다는 일이 반복적(수면 초기)
- 수면 중 멍하게 응시하는 시선
- 타인이 말을 걸면 반응을 보이지 않음
- 깨어났을 때 수면 중 행동을 전혀 기억하지 못함
- 수면 중 이상행동을 보이다가 잠에서 깨면 아무런 행동 장애가 없음
- 약물 복용으로 인한 행동이 아님(병적 상태가 아님)
4. 몽유병 환자를 깨워야 할까?
사실상 몽유병 환자를 갑작스럽게 깨우게 되면 오히려 그들이 놀라기 때문에 혼돈 뿐만 아니라 공포를 겪을 소지가 있습니다.
이것은 심장 박동의 급격한 상승을 가져오면서 신체 반응을 이끄는 계기로 작용하는데요.
모든 상황이 그런 건 아니고 갑자기 깨어나게 되는 순간에서 패닉 상태에 빠질 위험이 있으니 이 부분은 주의해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들을 곁에 두고 있다면 자칫 몽유병 상태에서 부상을 입지 않도록 날카롭거나 위험한 물건은 옆에서 치워두어야 하고 충분한 수면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 관리 및 안정을 취하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오늘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포화지방산 종류 및 건강상 이점 부작용 (4) | 2024.12.26 |
---|---|
십이지장궤양 증상 및 원인 치료 합병증 주의 (1) | 2024.12.24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성분 특징 및 주의사항 (1) | 2024.12.16 |
근막통증증후군 증상 및 진단 치료, 원인은? (2) | 2024.12.05 |
드라마 중독 사회적 영향 및 대처법 (39) | 2024.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