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과 관련된 약제를 사용해야 되는 상황은 살면서 한번쯤 발생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정장제 및 지사제에 관해 알아보면서 사용 시 주의점도 같이 체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장제
정장제는 장의 전반적 기능 개선을 위한 약제로서 궁극적으로 다양한 장내 문제를 가라앉혀 주면서 장의 소화 및 흡수, 운동에 대한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요.
목적에 따라 종류도 무척이나 다양한 편에 속하는데 여기에서는 크게 4가지로 언급할 수 있답니다.
우선 장내살균제는 감염성 설사가 있을 때 균을 죽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이 되며 다음 유산균 제제는 장내 산성 조건 유지를 도모하면서 병원미생물 발육 저지를 위해 쓸 수 있어요.
그리하여 장내 세균총이 정상적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쓰인답니다.
정장제 중 하제는 변비약이라고 하는 것으로 장내용물의 배설을 촉진하며 마지막 지사제는 우리가 알고 있는 설사약으로서 정상 배변작용을 도모할 목적으로 쓰인답니다.
참고로 정장제는 지사제와는 조금 다른 차이점을 내포하고 있는데요.
지사제의 경우에는 장 질환이나 소화기능의 장애, 설사 등이 자주 나타날 때 증상을 경감시켜 주기 위한 목적이라 한다면 정장제는 전반적인 장내 환경 개선을 위한 목적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어요.
정장제를 사용할 시 주의해야 되는 부분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하는데요.
확실한 증상이 있을 때 전문가의 처방을 따라 약물 복용을 할 수 있지만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리 정장제를 이용하지는 않는다는 점이에요.
아울러 폴리카르보필 등 테트라사이클린이나 퀴놀론 계열의 약물을 팽창성하제와 같이 복용하게 된다면 약물 흡수가 저해되는 가능성이 있고 디곡신과 같은 강심작용을 나타내는 강심배당체와 오랫동안 복용을 함께 한다면 칼륨 결핍이 발생하여 강심배당체 효과가 증가될 소지가 있으니 이 부분이 주의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장용성 자극성 하제의 경우에는 우유와 같이 복용하게 된다면 장용정의 효과가 감소하게 될 수 있으니 조심해야 될 필요가 있어요.
2. 설사약
설사약이라고 하는 지사제는 설사증상 완화를 위해 투여하는 목적이 있는데요.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거나 소화장애로 인해 설사는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어요.
설사를 멎게 할 목적으로 투여하는 설사약 종류에는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장운동억제제의 경우에는 장내 수분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면서 증상을 가라앉혀 줄 수 있고 항균제는 장내 유해균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설사약 중 수렴제는 장점막을 보호해 주면서 수축하여 수분 배출을 감소시켜 주며 흡착제는 손상된 점막에 도포를 하여 설사 원인이 되는 세균, 독소를 흡착해 배설이 되게 도움이 된답니다.
설사약 중 위에서 언급한 정장제는 장 기능의 정상화를 유도하면서 설사증상의 완화를 꾀할 수 있기도 해요.
지사제를 사용하는데 있어 반드시 주의해야 될 사항으로는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 무조건적인 복용은 피해야 한다는 점인데요.
기본적으로 설사가 나타났다면 수분과 전해질 보충을 일차적으로 시행해야 돼요.
왜냐하면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이렇게 수분 공급을 해주는 것만으로도 증상의 호전을 충분히 꾀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열이 나지 않고 출혈이 동반되지 않는 설사라면 증상을 조절하기 위하여 지사제를 투여하게 되는데요.
이후 설사가 멈춘다면 투여를 중단하게 돼요.
지사제를 복용하면서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장기간 사용해서는 절대 안되는데요.
때에 따라 심한 설사가 있거나 감염성 설사라면 항생제 투여가 적절히 필요할 수도 있어요.
지사제를 사용할 시 주의점으로는 투여하는 동안 알코올 섭취는 피해야 하며 베르베린 함유의 제품은 임부나 수유부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요.
'오늘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원입원 준비물 입원시 챙겨가는 기본 물품 5가지 (2) | 2025.03.16 |
---|---|
간암 4기 및 초기증상 재발과 전이 문제점 (2) | 2025.03.14 |
유근피 효능 느릅나무껍질 유근피차로 먹는법 (4) | 2025.03.11 |
경옥고 효능 공진단 효능 차이 및 특성 (1) | 2025.03.10 |
기관지에좋은음식 알아보며 기관지염 증상(급성 만성) (2)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