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도 건강

염색약알레르기 증상 및 예방법

by 건강의오늘 2024. 1. 31.
반응형

염색약알레르기

 

밋밋했던 헤어스타일에 변화를 주고자 가장 먼저 실시하게 되는 것이 염색입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염색약알레르기가 발생하게 되면 예기치 못한 불편함과 통증을 수반할 수 있습니다.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염색약알레르기는 어떻게 예방하는 게 최우선일까요?
 
  

1. 원인

 
염색약알레르기가 유발되는 원인에는 그 안에 담긴 성분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주의해야 되는 염색약 성분에는 PPD라고 불리는 파라페닐렌디아민이 있습니다.
이 성분은 발색을 위하여 제품 속에 첨가하는 성분인데 염색을 보다 빠르고 선명하게 하는데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PPD는 농도가 높을수록 피부에 더 강한 자극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평소 피부가 약한 분들을 비롯해 염색약의 과도한 사용은 염색약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주범이 됩니다.
 

 
  

염색약알레르기로 인하여 초기에는 염색 후 가려움이 느껴질 수 있고 따끔거림이 나타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건조가 심해지면서 구진과 각질, 홍반성 반점이 드러납니다.
이후 진물을 동반하기도 하고 이러한 증상은 머리에서만 일어나는 게 아닙니다.
머리와 가까운 목, 얼굴 등에서도 발생하며 몸통과 손에서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아주 드물게 염색약으로 인하여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경험하는 사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매우 위급한 상황으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2. 치료

염색약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났다면 즉각 조치를 취해야 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가벼운 반응이라면 따뜻한 물과 순한 샴푸, 비누 등을 활용해 완전히 머리를 헹구어야 합니다.

영향을 받은 부위에는 PPD를 산화시킬 만한 과망간산칼륨 용액을 도포할 수 있습니다.

약국에서 처방이 가능한 의약품 중에는 피부 발진이나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주는 약제들이 있습니다.

전문의와 상의 후에 현재 본인의 상태를 면밀하게 이야기하여 도움이 될 만한 약제를 처방받아 발라주는 게 좋습니다.

증상이 쉽게 호전되지 않을 경우에는 피부과 의사를 찾아가시는 게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예방법

 
염색약알레르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테스트를 해보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 면봉을 사용해 염색약을 소량 발라 팔 안쪽 및 귀 뒤쪽에 묻혀 보는 방법입니다.
이후 48시간 동안 일어난 피부 반응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아울러 염색약을 사용했을 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면 절대 무리하지 말고 즉각 사용을 중지해야 합니다.
기존에 두피나 머리, 목덜미에 상처가 있을 때에도 사용은 피하시는 게 바람직합니다.
 
임신에 대한 가능성이나 임신 중에는 염색약이 좋지 않게 작용할 수 있으니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염색약을 사용할 때에는 눈에 들어가지 않게 유의하며 혹시라도 들어갔을 때에는 깨끗한 물을 사용해 충분히 씻어내주어야 합니다.

반응형